Data Structure 41

[자료구조] 다양한 트리 구조(BST)

다양한 트리 구조(BST)평범한 이진 트리의 효용성은 그리 높지 않음BST, Balanced Tree 등에 대해 알아보자이진 검색 트리(BST, Binary Search Tree)널리 사용되는 형태의 이진 트리다음과 같은 속성이 있다.부모 노드의 값 >= 왼쪽 자식 노드의 값부모 노드의 값 즉, (왼쪽 노드 부모 노드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원소는 항상 왼쪽에 있다.부모 노드보다 크거나 같은 원소는 항상 오른쪽에 있다.완전 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이진트리에서 마지막 레벨을 제외한 모든 노드에 두개의 자식 노드가 있는 트리를 말함이 때 트리의 높이는 log_2(N)이 됨BST에서 원소 검색BST의 속성 때문에 원소 검색을 위해 루트 노드부터 차례대로 값을 비교하는 경우, 각 단계마다..

[자료구조] 비선형 문제

비선형 문제선형 자료 구조로 표현할 수 없는 대표적인 문제계층적 문제(hierachical problem)순환 종속성 문제(cyclic dependency)계층적 문제ex)회사 조직과 같은 조직 구성은 계층적으로 표현되지만, 선형 자료구조로 표현하기 어렵다선 이수 체계를 갖는 대학교 과정에 대한 종속 관계를 표현할 때에도 마찬가지다.트리를 이용하여 해결순환 종속성ex)SNS에서 사람들과의 친구관계 (그래프)도시와 도시를 잇는 도로망그래프를 이용하여 해결

[자료구조] 트리 - 분리 집합

분리 집합(Disjoint Set)집합의 정의 : 특정 조건에 맞는 원소의 모임분리 집합(Disjoint Set) : 서로 공통된 원소를 갖지 않는, 즉 교집합을 갖지 않는 복수의 집합분리 집합의 개념은 2개 이상의 집합을 일컬을 때만 사용할 수 있음분리 집합은 교집합을 허락하지 않기 때문에 소속 관계가 분명해야 하는 데이터를 다룰 때 아주 유용함ex) 도서 판매 관리 프로그램에서 일반 도서 집합과 베스트셀러 집합을 만들고, 베스트셀러들의 BookPrice가 베스트셀러 집합의 원소가 되도록 함이처럼 분리 집합은 원소 또는 개체가 '어느 집합에 소속되어 있는가?'라는 정보를 바탕으로 무언가를 하는 알고리즘에 응용할 수 있음분리 집합 표현 보통의 트리와 이진 트리는 부모가 자식을 가리키는 포인터를 갖고 있음..

[자료구조] 수식 트리

수식 트리(Expression Tree)수식 이진 트리(Expression Binary Tree)라고 부르기도 함일반적으로 다음 두가지 규칙을 가짐피연산자는 잎 노드이다.연산자는 뿌리 노드 또는 가지 노드이다.ex) 1 * 2 + (7 - 8)의 경우 피연산자 1, 2, 7, 8은 모두 잎 노드, 연산자들은 모두 뿌리 노드 or 가지 노드임뿌리 노드와 가지 노드 모두 피연산자를 양쪽 자식으로 가짐여기서 피연산자는 수(Number)일 수도, 또 다른 식(Expressioin)일 수도 있음ex) + 연산자는 하위 트리가 표현하는 수식 (1 * 2)와 (7 - 8)을 피연산자로 가지고 있음수식 트리는 가장 아래에 있는 하위 수식 트리(잎 노드)로 부터 수 또는 계산 결과값을 병합해 올라가는 과정을 반복하며 계..

[자료구조] 이진 트리

이진 트리(Binary Tree)하나의 노드가 자식 노드를 2개까지만 가질 수 있는 트리예시수식을 트리 형태로 표현하는 계산하는 수식 이진 트리(Expression Binary Tree)아주 빠른 데이터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이진 트리의 종류노드의 최대 차수가 2임모든 이진 트리의 자식 노드 수는 0, 1, 2 중 하나포화 이진 트리(Full Binary Tree): 잎 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가 자식을 둘 씩 가진 이진트리잎 노드들이 모두 같은 깊이에 위치한다는 특징을 가짐완전 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 잎 노드들이 트리 왼쪽부터 차곡차곡 채워져 있는 트리포화 이진 트리로 진화하기 전 단계임트리의 노드를 가능한 완전한 모습으로 ..

[자료구조] 트리 ADT

트리 ADT트리(Tree)란?나무를 닮은 자료구조HTML이나 XML 문서를 다룰 때 사용하는 DOM, 운영체의 파일 시스템 등이 트리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트리의 구성요소트리는 뿌리, 가지, 잎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세 가지 요소 모두 똑같은 노드이지만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불리는 이름이 달라진다뿌리 : 트리 자료구조의 가장 위에 있는 노드를 가리킴가지 : 뿌리와 잎 사이에 있는 모든 노드를 말함잎 노드(단말 노드) : 가지의 끝에 있는 마지막 노드를 잎 노드(단말 노드)라고 한다.부모, 자식 형제 관계가 존재한다. 위 그림을 봐보자노드 B, C, D를 보면 B에서 C와 D가 뻗어 나오는데 이때 B는 C와 D의 부모(Parent)이고, C와 D는 B의 자식(Children)이다.그리고 한 부모..

[C++ STL] 1.8 컨테이너 어댑터(Container Adaptor)

컨테이너 어뎁터(container adaptor)이미 존재하는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컨테이너에 대해 알아본다각 자료구조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이미 알고있다고 가정하고 글을 작성합니다!래퍼를 제공하는 이유코드에 의미를 부여의도하지 않는 함수를 실수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특별한 인터페이스를 새롭게 제공std::stackLIFO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택은 컨테이너의 한쪽 끝에서만 데이터를 삽입/삭제한다벡터나 덱은 이러한 기능을 기본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스택을 구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push_front()로 맨 앞 원소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벡터나 덱을 직접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이와 달리 std::stack을 사용하여 작성된 소스 코드는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 직관적으로 알..

[C++ STL] 1.7 std::dequeue

std::deque배열 기반 컨테이너와 리스트 기반 컨테이너 두 가지 방식이 섞여있는 형태각각의 장점을 적당히 가지고 있다vector에서 push_front(), pop_front() 에서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deque : 양방향 큐(double-ended-queue)의 약자덱의 구조C++ 표준은 덱의 동작에 있어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고 규정한다.push_front(), pop_front(), push_back(), pop_back() 동작이 O(1) 시간 복잡도로 동작해야 함모든 원소에 대해 임의 접근 동작이 O(1) 시간 복잡도로 동작해야 함덱 중간에서 원소 삽입 또는 삭제는 O(n) 시간 복잡도로 동작해야 하며, 실제로는 최대 n / 2 단계로 동작하며 여기서 n은 덱의 크..

[C++ STL] 1.6 std::list

std::list복습std::forward_list는 기본적인 형태로 구현된 연결 리스트임리스트 끝에 원소 추가, 역방향 이동, 리스트 크기 반환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 않음빠른 원소 삽입이 필요한 모든 경우에 어울리는 container는 아니다.std::forward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c++에서 std::list를 제공한다std::list양쪽 방향으로 연결된 리스트, 즉 이중 연결 리스트(doubly-linked-list) 구조로 되어 있다.따라서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메모리는 조금 더 많이 사용한다)// 이중 연결 리스트 노드 기본 형태struct doubly_linked_list_node{ int data; doubly_linked_list_node* next; doubl..

[C++ STL] 1.5 Iterator(반복자)

Iterator(반복자)반복자는 포인터와 비슷하지만, STL container에 대한 공통의 interface를 제공한다.반복자를 이용한 연산은 어떤 컨테이너에서 정의된 반복자인지에 따라 결정된다.배열과 벡터의 경우 연속된 자료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지정 위치의 원소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이러한 반복자를 임의 접근 반복자(random access iterator)라고 한다.std::foward_list의 경우 역방향 이동을 제공하지 않으며, 이전 노드로 이동하려면 처음부터 다시 찾아가야 한다.증가 연산만 가능하며, 이러한 반복자를 순방향 반복자(foward iterator) 라고 한다.반복자 타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함수advance()반복자와 거리 값을 인자로 받고, 반복자를 거리 값 만큼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