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메서드

  • HTTP API를 만들어보자
  • HTTP 메서드 - GET, POST
  • HTTP 메서드 - PUT, PATCH, DELETE
  • HTTP 메서드의 속성

HTTP API 만들기

Example.요구사항 : 회원 정보 관리 API 만들기

  • 회원 목록 조회
  • 회원 조회
  • 회원 등록
  • 회원 수정
  • 회원 삭제

API URI 설계

  • 회원 목록 조회
    • /read-member-list
  • 회원 조회
    • /read-member-by-id
  • 회원 등록
    • /create-member
  • 회원 수정
    • /update-member
  • 회원 삭제
    • /delete-member

이것이 과연 좋은 URI 설계일까?

  • URI는 리소스를 기준으로 설계를 해야한다.
    • URI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리소스 식별이다
  • 리소스의 의미?
    • 회원을 등록하고 수정하고 조회하는 것이 아님
    • ex) 미네랄을 캐는 동작에서 미네랄이 리소스임
    • 회원이라는 개념 자체가 리소스이다
  • 어떻게 리소스를 식별하는 것이 좋을까?
    • 회원을 등록하고 수정하고 조회하는 것을 모두 배제하고
    • 회원이라는 리소스만 식별하면 된다 -> 회원 리소스를 URI에 매핑해야 한다

리소스 식별, URI 계층 구조를 활용해보자

  • 회원 목록 조회
    • /members
  • 회원 조회
    • /members/{id}
  • 회원 등록
    • /members/{id}
  • 회원 수정
    • /members/{id}
  • 회원 삭제
    • /members/{id}
  • 조회, 등록, 수정, 삭제를 어떻게 구분할까?

리소스와 행위를 분리

  • 가장 중요한 것은 리소스를 식별하는 것이라고 했다.
  • URI는 리소스만 식별한다
  • 리소스와 해당 리소스를 대상으로 하는 행위를 분리해야 한다
    • 리소스: 회원
    • 행위: 조회, 등록, 삭제, 변경
  • 리소스는 명사, 행위는 동사 (미네랄을 캐라)
  • 그러면 행위(메서드)는 어떻게 구분해야 하나?
    • HTTP 메서드가 이 역할을 대신해준다.

HTTP 메서드 - GET, POST

  • HTTP 메서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할 때 기대하는 행동

HTTP 메서드 조류


주요 메서드

  • GET: 리소스 조회
  • POST: 요청 데이터 처리, 주로 등록에 사용
  • PUT: 리소스를 대체, 해당 리소스가 없으면 생성
  • PATCH: 리소스 부분 변경
  • DELETE: 리소스 삭제
  • 참고) 최근 HTTP 스펙에서는 "리소스"가 "Representation"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기타 메서드

  • HEAD: GET과 동일하지만 메시지 부분을 제외하고, 상태 줄과 헤더만 반환
  • OPTIONS: 대상 리소스에 대한 통신 가능 옵션(메서드)을 설명(주로 CORS에서 사용)
  • CONNECT: 대상 리소스로 식별되는 서버에 대한 터널을 설정
  • TRACE: 대상 리소스에 대한 경로를 따라 메시지 루프백 테스트를 수행
  • CONNECT와 TRACE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고 함

GET

  • 리소스 조회
    • "이 리소스를 주세요"
  • 서버에 전달하고 싶은 데이터는 query(쿼리 파라미터, 쿼리 스트링)를 통해서 전달
  • 최근 HTTP 스펙에서는 GET 메서드에서 메시지 바디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지만, 지원하지 않는 곳이 많아서 권장하지 않음
GET /search?q=hello&hl=ko HTTP/1.1
Host: www.google.com

리소스 조회 과정

메시지 전달

 

서버 도착

 

응답 데이터

POST

  • 요청 데이터 처리
    • 요청 데이터를 처리해달라고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 데이터를 전달한다
  • 메시지 바디를 통해 서버로 요청 데이터 전달
  • 서버는 요청 데이터를 처리
    • 메시지 바디를 통해 들어온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 이 기능들은 미리 약속되어 있다
  • 주로 전달된 데이터로 신규 리소스 등록, 프로세스 처리에 사용
POST /members HTTP/1.1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username": "hello",
"age": 20
}

리소스 등록 과정

메시지 전달

 

신규 리소스 생성

  • 미리 약속이 되어있다.
    • ex) 클라이언트에서 /members로 POST가 오면, 그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내부적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데 사용할거야
    • 여기서는 신규 등록으로 가정
  •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후 신규 ID(식별자)를 만든다
  • 신규로 리소스가 생성되면 HTTP 201 Created라고 보낸다 (200으로 보내도 됨)
    • 201로 보낼 때는 리소스가 생성된 경로를 보내준다

응답 데이터

요청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한다는 뜻일까?

  • 스펙: POST 메서드는 대상 리소스가 리소스의 고유한 의미 체계에 따라 요청에 포함된 표현을 처리하도록 요청합니다. (구글 번역)
  • 예를 들어 POST는 다음과 같은 기능에 사용됩니다.
    • HTML 양식에 입력된 필드와 같은 데이터 블록을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에 제공
      • 예) HTML FORM에 입력한 정보로 회원 가입, 주문 등에서 사용
  • 게시판, 뉴스 그룹, 메일링 리스트, 블로그 또는 유사한 기사 그룹에 메시지 게시
    • 예) 게시판 글쓰기, 댓글 달기
  • 서버가 아직 식별하지 않은 새 리소스 생성
    • 예) 신규 주문 생성
  • 기존 자원에 데이터 추가
    • 예) 한 문서 끝에 내용 추가하기
  • 정리: 이 리소스 URI(ex. /members)에 POST 요청이 오면 요청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지 리소스마다 따로 정해야 함 -> 정해진 것이 없음

정리

    1. 새 리소스 생성(등록)
    • 서버가 아직 식별하지 않은 새 리소스 생성
    1. 요청 데이터 처리
    • 단순히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넘어서 프로세스를 처리해야 하는 경우
    • 예) 주문에서 결제완료 -> 배달시작 -> 배달완료 처럼 단순히 값 변경을 넘어 프로세스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 POST의 결과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지 않을 수도 있음
    • 예) POST /orders/{orderId}/start-delivery (컨트롤 URI)
      • URI를 리소스 단위로 어쩔 수 없이 설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 위 예시에서 start-delivery는 리소스가 아님. (명사가 아니라 동사)
          • 이러한 URI를 컨트롤 URI라고 한다
    1. 다른 메서드로 처리하기 애매한 경우
    • 예) JSON으로 조회 데이터를 넘겨야 하는데, GET 메서드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 * JSON을 바디에 넣어서 전달하고 싶은데 GET 메서드의 바디에 데이터를 넣는 것을 지원하지 않아서 넣지 못하는 경우임 * 이런 경우에는 조회이지만 POST를 사용해야 한다. http 바디에 조회 데이터를 넘기면 된다 * 서버로는 POST로 왔지만 필요한 값을 만들어서 응답해준다
  • 애매하면 POST
    • POST는 메시지를 내부에 담아서 보내는 모든 걸 할 수 있다. 하지만 조회할 때는 GET을 사용하는게 좋다
      • GET에서는 캐싱을 하기 때문
      • 어쩔 수 없는 경우에는 POST를 사용하자

HTTP 메서드 - PUT, PATCH, DELETE

PUT

PUT /members/100 HTTP/1.1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username": "hello",
"age": 20
}
  • 리소스를 대체
    • 리소스가 있으면 대체
    • 리소스가 없으면 생성
    • 쉽게 이야기해서 덮어버림
      • 비유) 폴더에 파일을 복사할 때, 폴더에 파일이 없으면 파일이 새로 생긴다. 하지만 기존에 똑같은 파일이 있으면 덮어쓸 수 있다.
      • ex) /members/100 리소스가 없으면 새로 생기고, 있으면 기존 데이터를 완전히 덮어쓴다
  • 중요! 클라이언트가 리소스를 식별
    • 클라이언트가 리소스 위치를 알고 URI 지정
      • ex) http message에서 클라이언트가 /members/100 전체 위치를 알고 있다
    • POST와 차이점
      • ex) POST의 경우 /members로 요청했다. 100번에 만들어질지, 200번에 만들어질지를 알 수 없다. * ex) PUT은 100번에 넣을거라고 지정한다

리소스가 있는 경우

  • 리소스 대체

리소스가 없는 경우

  • 신규 리소스 생성

주의! 리소스를 완전히 대체한다

 

  • 나이만 update하고 싶어도, 기존 리소스를 완전히 지우고 새로 생긴다
  • 부분만 변경하고 싶다면? --> PATCH

PATCH

PATCH /members/100 HTTP/1.1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age": 50
}
  • 리소스 부분 변경
    • PATCH가 지원되지 않는다면 POST를 사용하자. POST는 무적이다

리소스 부분 변경 과정

 

DELETE

DELETE /members/100 HTTP/1.1
Host: localhost:8080
  • 리소스 제거

리소스 제거 과정

 

HTTP 메서드를 이렇게 나눈 이유?

  • POST가 거의 무적의 기능인데, 왜 GET, POST, PUT, PATCH, DELETE로 나눴을까?
    • HTTP 메서드의 속성을 통해 알아보자

HTTP 메서드의 속성

  • 안전(Safe Methods)
  • 멱등(Idempotent Methods)
  • 캐시가능(Cacheable Methods)

  • 위 표에서 GET메서드에 요청 body가 없다고 나와있지만, 이제는 body에 데이터를 넣을 수 있다.

안전(Safe)

  • 호출해도 리소스를 변경하지 않는다.
    • ex) GET은 조회만 하기 때문에 안전하다. POST, DELETE, PUT, PATCH는 모두 안전하지 않다
  • Q: 그래도 계속 호출해서, 로그 같은게 쌓여서 장애가 발생하면요?
  • A: 안전은 해당 리소스만 고려한다. 그런 부분까지 고려하지 않는다.

멱등(Idempotent)

  • f(f(x)) = f(x)
  • 한 번 호출하든 두 번 호출하든 100번 호출하든 결과가 똑같다.
  • 멱등 메서드
    • GET: 한 번 조회하든, 두 번 조회하든 같은 결과가 조회된다.
    • PUT: 결과를 대체한다. 따라서 같은 요청을 여러번 해도 최종 결과는 같다.
      • ex) 똑같은 파일을 여러 번 업로드 해도 결과는 똑같다. PUT은 기존 데이터를 날리고 완전히 덮어버리기 때문
    • DELETE: 결과를 삭제한다. 같은 요청을 여러번 해도 삭제된 결과는 똑같다.
      • 리소스를 한 번 삭제하면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게 되고, 100번 삭제 해도 리소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 POST: 멱등이 아니다! 두 번 호출하면 같은 결제가 중복해서 발생할 수 있다.
      • ex) 송금을 한 번하는 것과 두 번하는 것은 결과가 다르다
  • 활용
    • 자동 복구 메커니즘
    • 서버가 TIMEOUT 등으로 정상 응답을 못주었을 때, 클라이언트가 같은 요청을 다시 해도 되는가? 판단 근거
      • ex) DELETE를 했는데 서버에서 응답이 없다면, 클라이언트가 다시 DELETE를 재시도 해도 문제가 없다
  • Q: 재요청 중간에 다른 곳에서 리소스를 변경해버리면?
    • 사용자1: GET -> username:A, age:20
    • 사용자2: PUT -> username:A, age:30
    • 사용자1: GET -> username:A, age:30 -> 사용자2의 영향으로 바뀐 데이터 조회
  • A: 멱등은 외부 요인으로 중간에 리소스가 변경되는 것 까지는 고려하지는 않는다.

캐시가능(Cacheable)

  • "응답 결과 리소스"를 캐시해서 사용해도 되는가?
    • ex) 웹 브라우저가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는지/없는지?
  • GET, HEAD, POST, PATCH 캐시가능
  • 실제로는 GET, HEAD 정도만 캐시로 사용
    • 캐시를 하려면 Resource Key가 일치해야 하는데, POST, PATCH는 바디에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본문 내용까지 캐시 키로 고려해야 한다. --> 구현이 쉽지 않음
    • ex) GET은 URL만 가지고 캐싱을 하면 되기 때문에 간단하다
    • 실무에서는 GET만 캐싱을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HTTP 기본(비 연결성, HTTP 메시지)

연결을 유지하는 모델

 

 

 

 

  • 클라이언트 1, 2, 3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다
  • 단점 :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지 않아도 계속 연결을 서버가 유지해야 한다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모델

 

 

  • 요청을 주고 받을 때만 연결을 하고 그 다음에는 연결을 끊어버려 서버가 유지하는 자원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비 연결성(connectionless)

  • HTTP는 기본이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모델
  • 일반적으로 초 단위의 이하의 빠른 속도로 응답
  • 1시간 동안 수천명이 서비스를 사용해도 실제 서버에서 동시에 처리하는 요청은 수십개 이하로 매우 작음
    • 예) 웹 브라우저에서 계속 연속해서 검색 버튼을 누르지는 않는다.
  • 서버 자원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비 연결성의 한계와 극복

  • TCP/IP 연결을 새로 맺어야 함 - 3 way handshake 시간 추가
  • 웹 브라우저로 사이트를 요청하면 HTML 뿐만 아니라 자바스크립트, css, 추가 이미지 등등 수 많은 자원이 함께 다운로드
  • 지금은 HTTP 지속 연결(Persistent Connections)로 문제 해결
    • Keep Alive라고도 함
  • HTTP/2, HTTP/3에서 더 많은 최적화

HTTP 초기

  • 연결, 종료 낭비

HTTP 지속 연결(Persistent Connections)

Stateless를 기억하자

  • 서버 개발자들이 어려워 하는 업무
    • 정말 같은 시간에 딱 맞추어 발생하는 대용량 트래픽
      • 예) 선착순 이벤트, 명절 KTX 예약, 학과 수업 등록
      • 예) 저녁 6:00 선착순 1000명 치킨 할인 이벤트 -> 수만명 동시 요청
  • 최대한 stateless하게 설계해야한다

HTTP 메시지

이 부분은 컴퓨터네트워크에서 한 번 다뤘기 때문에 자세히 설명하지 않고 넘어갈 거에요

HTTP 메시지의 구조

요청 메시지 - start-line(시작 라인)

  • start-line = request-line(요청 메시지) / status-line(응답 메시지)
  • request-line = method SP(공백) request-target SP HTTP-version CRLF(엔터)
    • method에는 get, post 등등이 들어간다
      • request-target에는 path가 들어간다

example

GET /search?q=hello&hl=ko HTTP/1.1
Host: www.google.com
  • HTTP 메서드 (GET: 조회)
  • 요청 대상 (/search?q=hello&hl=ko)
  • HTTP Version

Start-line - HTTP 메서드

  • 종류: GET, POST, PUT, DELETE...
  • 서버가 수행해야 할 동작 지정
    • GET: 리소스 조회
    • POST: 요청 내역 처리

Start-line - request-target(요청 대상)

  • absolute-path[?query] (절대경로[?쿼리])
  • 절대경로= "/" 로 시작하는 경로
  • 참고: *, http://...?x=y 와 같이 다른 유형의 경로지정 방법도 있다.

Start-line - HTTP version

응답 메시지 - start-line

  • start-line = request-line(요청) / status-line(응답)
  • status-line = HTTP-version SP status-code SP reason-phrase CRLF
  • HTTP 버전
  • HTTP 상태 코드: 요청 성공, 실패를 나타냄
    • 200: 성공
    • 400: 클라이언트 요청 오류
    • 500: 서버 내부 오류
  • 이유 문구(reason-phase):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짧은 상태 코드 설명 글
    • ex) OK

Example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html;charset=UTF-8
Content-Length: 3423
<html>
<body>...</body>
</html>

HTTP 헤더

  • header-field = field-name ":" OWS field-value OWS (OWS:띄어쓰기 허용)
    • file-name 한 칸 띄우고 ":" 는 불가능 하다. ":" 후 한 칸 띄우는 건 가능
  • filed-name은 대소문자 구문 없음

HTTP 헤더의 용도

  • HTTP 전송에 필요한 모든 부가정보
  • 예) 메시지 바디의 내용(xml인지, html인지), 메시지 바디의 크기, 압축, 인증, 요청 클라이언트(브라우저) 정보, 서버 애플리케이션 정보, 캐시 관리 정보...
    • 메시지 바디를 제외하고 필요한 메타데이터 정보가 다 들어있다고 보면 된다
  • 표준 헤더가 너무 많음
  • 필요시 임의의 헤더 추가 가능
    • helloworld: hihi

HTTP 메시지 바디 - 용도

  • 실제 전송할 데이터
  • HTML 문서, 이미지, 영상, JSON 등등 byte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전송 가능

단순함 확장 가능

  • HTTP는 단순하다. 스펙도 읽어볼만...
  • HTTP 메시지도 매우 단순
  • 크게 성공하는 표준 기술은 단순하지만 확장 가능한 기술

HTTP 정리

  • HTTP 메시지에 모든 것을 전송
  • HTTP 역사 HTTP/1.1을 기준으로 학습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 무상태 프로토콜(스테이스리스)
  • HTTP 메시지
  • 단순함, 확장 가능
  • 지금은 HTTP 시대

Ref)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 인프런, 김영한 강의

HTTP 기본(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Stateful, Stateless)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HTTP 메시지에 모든 것을 전송
    • HTML, TEXT
    • IMAGE, 음성, 영상, 파일
    • JSON, XML (API)
    •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 가능
    •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 사용
    • 지금은 HTTP 시대!

HTTP 역사

  • HTTP/0.9 1991년: GET 메서드만 지원, HTTP 헤더X
  • HTTP/1.0 1996년: 메서드, 헤더 추가
  • HTTP/1.1 1997년: 가장 많이 사용,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버전
    • RFC2068 (1997) -> RFC2616 (1999) -> RFC7230~7235 (2014)
  • HTTP/2 2015년: 성능 개선
  • HTTP/3 진행중: TCP 대신에 UDP 사용, 성능 개선

기반 프로토콜

  • TCP: HTTP/1.1, HTTP/2
  • UDP: HTTP/3
  • 현재 HTTP/1.1 주로 사용
    • HTTP/2, HTTP/3 도 점점 증가
  • 크롬 개발자 도구에서 Protocol 기준으로 정렬을 해보면 h2(http/2), http1.1 등 어떤 프로토콜이 사용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HTTP 특징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 무상태 프로토콜(스테이스리스), 비연결성
  • HTTP 메시지
  • 단순함, 확장 가능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 Request Response 구조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대기
  • 서버가 요청에 대한 결과를 만들어서 응답
    •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등은 서버에서 다룬다
    • 클라이언트에서는 UI, 사용성에 집중을 한다
    •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분리함으로써 서로 독립적으로 진화해왔다.
  •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부터 응답을 받고 동작

무상태 프로토콜

스테이스리스(Stateless)

  •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X
  • 장점: 서버 확장성 높음(스케일 아웃)
  • 단점: 클라이언트가 추가 데이터 전송

Stateful, Stateless 차이

Stateful - 상태 유지

  • stateful example

• 고객: 이 노트북 얼마인가요?
• 점원: 100만원 입니다.

 

• 고객: 2개 구매하겠습니다.
• 점원: 200만원 입니다. 신용카드, 현금중에 어떤 걸로 구매 하시겠어요?

 

• 고객: 신용카드로 구매하겠습니다.
• 점원: 200만원 결제 완료되었습니다.

 

 

만약 중간에 점원이 바뀐다면?

 

• 고객: 이 노트북 얼마인가요?
• 점원A: 100만원 입니다.

 

• 고객: 2개 구매하겠습니다.
• 점원B: ? 무엇을 2개 구매하시겠어요?

 

• 고객: 신용카드로 구매하겠습니다.
• 점원C: ? 무슨 제품을 몇 개 신용카드로 구매하시겠어요?

 

 

Stateful 상황 정리

 

• 고객: 이 노트북 얼마인가요?
• 점원: 100만원 입니다. (노트북 상태 유지)

 

• 고객: 2개 구매하겠습니다.
• 점원: 200만원 입니다. 신용카드, 현금중에 어떤 걸로 구매 하시겠어요?
(노트북, 2개 상태 유지)

 

• 고객: 신용카드로 구매하겠습니다.
• 점원: 200만원 결제 완료되었습니다. (노트북, 2개, 신용카드 상태 유지)

 

 

Stateless - 무상태

  • Stateless example

• 고객: 이 노트북 얼마인가요?
• 점원: 100만원 입니다.

 

• 고객: 노트북 2개 구매하겠습니다.
• 점원: 노트북 2개는 200만원 입니다. 신용카드, 현금중에 어떤 걸로 구매 하시겠어요?

 

• 고객: 노트북 2개를 신용카드로 구매하겠습니다.
• 점원: 200만원 결제 완료되었습니다.

  • 고객이 어떤 노트북을 몇 개,어떤 결제 수단으로 구매할 것인지 다 말해주고 있다

stateless에서 점원이 중간에 바뀌면?

 

• 고객: 이 노트북 얼마인가요?
• 점원A: 100만원 입니다.

 

• 고객: 노트북 2개 구매하겠습니다.
• 점원B: 노트북 2개는 200만원 입니다. 신용카드, 현금중에 어떤 걸로 구매 하시겠어요?

 

• 고객: 노트북 2개를 신용카드로 구매하겠습니다.
• 점원C: 200만원 결제 완료되었습니다.

  • stateful에서는 중간에 다른 점원으로 바뀌면 에러가 발생한다.
    •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려면 다른 점원들에게 미리 다 전파를 해줘야 하는데, 이 과정은 쉽지 않다

예시 정리

  • 상태 유지(Stateful): 중간에 다른 점원으로 바뀌면 안된다. (중간에 다른 점원으로 바뀔 때 상태 정보를 다른 점원에게 미리 알려줘야 한다.)
  • 무상태(Stateless): 중간에 다른 점원으로 바뀌어도 된다.
    • 고객이 필요한 데이터를 그때그때 다 넘기기 때문에 중간에 점원이 바뀌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
    • 갑자기 고객이 증가해도 점원을 대거 투입할 수 있다.
  • 백엔드 관점에서 보면, 클라이언트 요청이 갑자기 확 증가해도 서버를 대거 투입할 수 있다.
    • 무상태면 상태 관리를 따로 하지 않기 때문에 서버 증설을 아무데나 들어오면 되기 때문
  • 무상태는 응답 서버를 쉽게 바꿀 수 있다 --> 무한한 서버 증설이 가능

Stateful(상태 유지): 클라이언트-서버 동작

  • 항상 같은 서버가 유지되어야 한다

  • 중간에 서버가 장애나면?

Stateless(무상태): 클라이언트-서버 동작

  • 아무 서버나 호출해도 된다.

  • 중간에 서버가 장애나면?

Stateless(무상태): 스케일 아웃 - 수평 확장 유리

ex) 큰 이벤트를 진행하여 백엔드에서 수많은 서버 장비를 추가하여 확장하는 경우 Stateless로 설계하면 유리하다

Stateless(무상태): 실무 한계

  • 모든 것을 무상태로 설계 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다.
  • 무상태
    • 예) 로그인이 필요 없는 단순한 서비스 소개 화면
  • 상태 유지
    • 예) 로그인
  • 로그인한 사용자의 경우 로그인 했다는 상태를 서버에 유지
  • 일반적으로 브라우저 쿠키와 서버 세션등을 사용해서 상태 유지
  • 상태 유지는 최소한만 사용
  • Stateless의 또다른 단점 : 데이터를 많이 보내야 한다

결론)

  • Web Application을 설계할 때는 최대한 무상태로 설계하지만, 어쩔 수 없는 경우에 한해서만 상태 유지를 한다

 

Ref)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 인프런, 김영한 강의

'WEB > HT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HTTP 메서드  (0) 2024.06.30
[HTTP] HTTP 기본: 비 연결성, HTTP 메시지  (0) 2024.06.25
[HTTP] URI와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0) 2024.06.25

URI와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된 방법.
  • Uniform : 리소스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 Resource : 자원,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제한 없음)
  • Identifier :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

URI? URL? URN?

  • URI는 로케이터(locater), 이름(name) 또는 둘 다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

  • URL : Uniform Resource Locater,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정
    • 우리가 웹 브라우저에 적는 것
  • URN : Uniform Resource Name, 리소스에 이름을 부여
    • ex) ISBN
      • urn:isbn:12345678 (어떤 책의 isbn URN)
    • URN 이름만으로 실제 리소스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보편화 되지 않음
  • URL을 주로 사용하고, URN은 거의 사용하지 않음

URL 분석

scheme

  • 주로 프로토콜 사용
    • 프로토콜 : 어떤 방식으로 자우너에 접근할 것인가 하는 약속 규칙
      • ex) http, https, ftp 등등
  • http는 80 포트, https는 443 포트를 주로 사용, 포트는 생략 가능
  • https는 http에 보안 추가 (HTTP Secure)

userinfo

  • URL에 사용자정보를 포함해서 인증해야 할 때 사용됨
  • 거의 사용하지 않음

host

  • 호스트명
  • 도메인 또는 IP 주소를 직접 사용 가능

PORT

  • 접속 포트
  • 일반적으로 생략 가능, 생략할 때 일반적으로 HTTP는 80, HTTPS는 443이다.

path

  • 리소스 경로(path), 계층적 구조로 되어 있다
  • ex)
    • /home/file1.jpg
    • /members
      • /members/100, items/iphone14

query

  • key=value 형태
  • ?로 시작, &로 추가 가능
    • ?keyA=valueA&keyB=valueB
  • query parameter, query string 등으로 불림, 웹서버에 제공하는 파라미터, 문자 형태
    • 웹서버에 보통 제공하는 파라미터 정보가 String 형태로 전달되서 이렇게 불린다고 한다

fragment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이미 컴퓨터 네트워크 표준 프로토콜 글에서 다룬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HTTP 메시지 전송

 

 

 

 

 

 

Ref)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 인프런, 김영한 강의

+ Recent posts